네트워크 회선에 대해 알아보아요
Reference: [책]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 원격지 network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WAN을 사용해야 한다
- WAN에서 통신사업자와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다양한 종류의 network 회선과 기술이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는 LAN과 동일하게
Ethernet
이 주로 사용된다
- WAN에서 통신사업자와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다양한 종류의 network 회선과 기술이 사용되어 왔지만, 현재는 LAN과 동일하게
- 일반적인
Ethernet
외에 특별한 용도로 음성 회선 기반의 저속 회선기술이나 통신 사업자 간의 고속 통신 또는 가입자 구분/식별 용도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 Internet 접속을 위해
통신사업자
와 연결하는 회선을 인터넷 회선이라고 한다 - 통신사업자와 cable만 연결한다고 연결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통신 사업자가 판매하는 인터넷과 연결된 회선 을 사용해야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 일반 가정에서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은 뒤에 나오는
전용 회선
과는 전송 기술이 약간 다르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전송 선로 공유 기술을 사용한다
- ex)
- 아파트 광랜은 내부 선로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여서 인터넷 전용 회선 처럼 보이지만,
- 아파트에서 통신사업자까지 연결한 회선을 아파트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이다
- 아파트 광랜은 내부 선로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여서 인터넷 전용 회선 처럼 보이지만,
- ex)
- 전송 선로를 공유 하므로 일반 인터넷 회선의 속도는 전송 가능한 최대 속도이고, 속도를 보장하지 않는다
- 즉, 주변 사용량에 따라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가입자와 통신사업자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전송 선로 공유 기술을 사용한다
- 광랜 (Ethernet)
- 기가 ~ 100Mbps
- FTTH
- 기가 ~ 100Mbps
- 동축 케이블 인터넷
- 수백 ~ 수십 Mbps
- xDSL (ADSI, VDSL 등)
- 수십 ~ 수 Mbps
- 위의 인터넷 접속 기술은 기존 전화선을 사용하거나 특정 구간부터 다른 사용자와 공유된다
- 항상 모든 사람이 최대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것은 아니므로 공유 구간은 사용자 최대 속도를 보장하지 않도록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입자
와통신사업자
간에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서비스를 대부분 전용 회선이라고 부른다가입자
와통신사업자
간에는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고, 통신사업자 내부에서 TDM (시분할 다중화: Time Division MUltiplexing) 같은 기술로 마치 직접 연결한 것처럼 통신 품질을 보장한다인터넷 전용 회선
이 아닌일반 전용 회선
은 본사-지사 연결에 주로 사용된다
전용 회선을 가입자
와 접속하는 전송 기술
을 기반으로 구분한다면 음성 전송 기반의 저속 회선과 Metro Ethernet이라는 고속 회선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저속 음성 전송 기술은 64kbps 단위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 작은 기본 단위를 묶어 회선 접속 속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발전되어 온 기술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 보통 높은 속도를 필요하지 않을 때 혹은 높은 신뢰성이 필요할 때 사용되어 왔지만,
- 현재는 Ethernet 기반의 광 전송 기술이 신뢰할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해 점점 사용 빈도가 줄고 있다
- but, 결재 승인과 같은 전문
(Clear Text) 전송
을 위한 **VAN(Value Added Network)**시나 대외 연결에는 저속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but, 결재 승인과 같은 전문
- 현재는 Ethernet 기반의 광 전송 기술이 신뢰할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해 점점 사용 빈도가 줄고 있다
- 저속 음성 전송 기술을 사용하려면 원격지 전송 기술로 변환 할 수 있는
Router
가 필요하다
- 고속 연결은 대부분 광케이블 기반의
Ethernet
을 사용한다 -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간의 기술은
Ethernet
을 사용하고, 통신사업자 내부에서는 이런 개발 가입자를 묶어 통신할 수 있는 다른 고속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가입자와 통신사업자 내부에서의 통신 기법이 다른 이유는 통신사업자는 여러 가입자를 구분하고, 가입자 traffic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 또한, 다양한 가입자 접속 기수을 하나의 기술로 통합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된다
- why?
- 저속 통신 회선이나 Ethernet, 음성을 한의 회선에 실을 수 있게!
- why?
+
- LLCF는 한쪽 link가 다운되면 이를 감지해 반대쪽 link도 다운시키는 기능이다
- 전용 회선을
Ethernet
으로 구성할 때 회선사에서LLCF
를 설정하지 않으면 전용 회선이 한 사이트에서 다운되더라도, 반대쪽에서는 사이트에서는 회선이 그대로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회선 개통 후
LLCF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회선 개통 후
- 단, 저속 회선은 2계층 protocol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긴으이 있으므로
Router
에서 상대방 link가 끊길 경우 감지할 수 있어LLCF
설정이 필요 없다!
- 인터넷 연결 회선에 대한 통신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인터넷 전용회선
이라고 한다가입자
가통신사업자
와 연결되고, 이 연결이 다시 인터넷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 인터넷 전용 회선은 가입자가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접속 기술과 달리 다른 가입자와 경쟁하지 않고
통신사업자
와가입자
간의 연결 품질을 보장해준다 - 최근 인터넷 전용 회선 기술은
Ethernet
이 가장 많이 쓰인다Metro Ethernet
이라는 이 기술은 수 ~ 수십 kmㄲ지 전송할 수 있는 최근의 Ethernet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VPN은 물리적으로는 전용이 아니지만 가상으로 연결한 것 같은 효과가 나도록 만들어주는 network 기술이다
- 다양한 VPN 기술이 있고
가입자 입장
에서의 기술과통신사업자 입장
에서의 기술이 별도로 발전해왔다
전용선
은 연결거리가 늘어날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도시 내의 전용선 연걸은 비싸지 않지만 타 도시나 해외 연결 전용선은 매우 비싸다
-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보장해주지만 가입자가 계약된 대역폭을 항상 100% 사용하는 것이 아니어서 낭비되는 비용이 클 수 있다
- 이런 비용 낭비를 줄이기 위해 통신사업자가 직접 가입자를 구분 할 수 있는 VPN 기술을 사용해 비용을 낮추고 있다
- 가장 대표적인 VPN 기술이 MPLS VPN이다
- MPLS VPN
-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MPLS 망에 접속되지만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이 기술을 사용하면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망에 접속해 통신하므로 공용 회선을 함께 이용하게 되어 비용이 낮아진다
- 전용 회선 비용은
거리
와속도
에 영향을 받지만 MPLS VPN 회선은 거리보다속도
의 영향을 받으므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MPLS와 같은 공용망 기술 사용이 비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 도시 내부의 통신 외에
본사-지사
또는지사-지사
간의 연결은 대부분 MPLS VPN 기술을 사용해 연결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술적으로 특별히 고려할 것이 없으므로 일반 전용선과 동일한 접속 기술을 사용하게된다
- MPLS VPN
- 가장 대표적인 VPN 기술이 MPLS VPN이다
- 일반 사용자가 VPN을 사용한다면 대부분 가입자 VPN 기술이다
- 일반 인터넷망을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가상 전용 Network를 구성해 사용할 수 있다
- 지방이나 해외를 전용선으로 연결하면 비용이 매우 비싸고 앞에서 알아본 MPLS VPN 기술 이용한 회선도 일반 인터넷 연결보다 비싸다
- 그래서 비용을 낮추기 위해 일반 인터넷 연결을 이용한 VPN을 사용한다
-
파장 분할 다중화
기술은 먼 거리를 통신할 때 cable 포설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WDM 기술이 나오기 저에는 하나의 광 케이블에 하나의 통신만 가능했다
WDM
- 사용되는 신호 (빛)의 파장을 분할하는 장치
-
통신사업자는 많은 가입자를 구분하고 높은 대역폭의 통신을 제공해야 하므로 여러 개의 cable을 포설해야 했고, 이러한 물리적인 cable을 포설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WDM
과DWDM
기술을 하나의 광케이블에 다른 파장의 빛을 이용해 여러 채널을 만드는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DWDM
전송 기술은 기존WDM
보다 더 많은 채널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통신 사업자 내부에서 먼 거리를 통신할 때 주로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가 인터넷에서도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