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Jiho/final-project-level3-nlp-10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실시간 악성채팅 감지 시스템

실제 활용 예시

최종프로젝트

문제 정의

개인방송을 하다보면 채팅창의 물을 흐리는 악질적인 시청자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청자 수가 적을 경우 일일이 제재를 가하면 되지만, 시청자 수가 많은 경우 이들을 전부 관리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통해 악질 시청자를 분류해 채팅창을 쉽게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예상되는 문제점

  1. 기존 서비스 존재

이미 기존에 싹둑이나 Nightbot과 같이 채팅창을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1. 오인 제재

혐오표현이 아니더라도, 혐오표현과 유사한 문구가 포함된 문장은 혐오표현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1. 관대한 방송인

방송인이 채팅을 제재하는 기준은 방송인에 따라 다릅니다. 아무리 심한 욕이라도 검열을 하지 않는 방송인이 있는 반면 아무리 사소한 표현이라도 검열하는 방송인이 있습니다.

극복 방안

기존 서비스는 Rule-based로 악성 채팅을 분류합니다. 따라서 검열할 문구를 사전에 입력해주어야 하며, 검열 목록에 없는 표현들은 혐오표현이라도 검열되지 않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검열 목록에 없더라도 혐오표현으로 분류되면 검열이 가능합니다.
또한, 오인 제재와 관대한 방송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저희는 인공지능이 직접적으로 제재를 하기 보다는, 제재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제작하였습니다.

Data Labeling

사용한 데이터셋 목록

트위치 채팅 데이터는 Chatty를 이용해 수집하였습니다.
전처리 코드와 raw data는 ElectraBERT-base/data/twitch 폴더 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라벨링 기준

데이터 라벨링의 기준(혐오표현의 기준)을 세우는 데에 고려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욕설 표현이 들어가 있는 경우 혐오표현으로 분류
    (씨X, 병X, 개새X, 새X 등)
  • 단어 자체는 욕설이라 보기 힘들지만 문장 안에서 욕설이라고 표현될 수 있는 경우 혐오표현으로 분류
  • 현재 단어가 단순 강조의 의미이거나 유행어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본 뜻이 충분히 욕설일 경우 혐오표현으로 분류
    (존X, 개같이, 씹 등)
  • 성적인/음란한 표현들도 혐오표현으로 분류
    (섹X, 따먹는다, 꼴린다, 아다 등)
  • 채팅창의 물을 흐린다고 할 수 있을만큼 공격적인 표현은 혐오표현으로 분류
  • 정도가 매우 심한 지역/성별/인종 차별 발언도 혐오표현으로 분류

Training

학습을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arguments들을 정해서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Meta Pseudo Labels이라는 학습 방법을 사용했으며 링크에 있는 코드를 사용하여 적용했습니다.
또한, MLflow를 설정하여 fine-tuning한 모델 중 가장 좋은 F1을 보인 모델을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python train.py --dropout1 0.3 \
                --dropout2 0.4 \
                --teacher_learning_rate 1e-7 \  
                --student_learning_rate 1e-7 \
                --label_smoothing 0 \
                --embeeding_dim 100 \
                --hidden_size 128 \
                --num_classes 2 \
                --epochs 1 \
                --seed 42 \
                --vocab_size 30000 \
                --batch_size 32 \
                --unlabeled_sample_frac 0.025 \
                --temperature 0 \
                --uda_lambda 1 \
                --uda_step 1 \
                --threshold 0.7 \
                --patient 20 \
                --finetune_learning_rate 1e-3 \
                --finetune_epochs 10 \
                --finetune_max_lr 0.01 \
                --finetune_pct_start 0.1

Benchmark

Models

labeled된 데이터의 20%를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고 10 epochs로 학습했을 때의 성능비교입니다.

Model Best Acc Best F1 Inference time(128 batch, CPU)
Rule based 0.81 0.690 0.01s(1300 words)
CNN 0.90 0.878 0.03s
BiLSTM 0.93 0.90 0.28s
CNN + BiLSTM 0.92 0.911 0.3s

Parameters

Model Params
CNN + BiLSTM 3390786
MobileBERT-uncased 24582914
BERT-base 110618882

Training

labeled된 트위치 채팅 데이터를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했습니다.

Training Best Acc Best F1
Only labeled 0.76 0.742
Pseudo labeling 0.75 0.728
MPL -> Fine-tuning 0.79 0.757
  • pseudo labeling 방법은 학습하려고 하는 모델에 unlabeled 데이터를 넣어 생성된 pseudo label을 다시 학습하는 방법으로 진행했습니다.

Reference

About

final-project-level3-nlp-10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

  • Jupyter Notebook 59.1%
  • Python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