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1주차/모리] 워크북 제출합니다. #22

Merged
merged 3 commits into from
Sep 27, 2024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Binary file added keyword/chapter01/image2.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keyword/chapter01/image3.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Binary file added keyword/chapter01/img.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145 changes: 145 additions & 0 deletions keyword/chapter01/keyword.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45 @@
# 1주차 키워드 정리🎯

## 1. 외래키 (*Foreign Key*)
### 1) 외래키란?
- 외래키는 하나의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는키.
- 외래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무결성(Integrity)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2) 외래키의 이점
- **데이터 무결성 유지** : 외래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자식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를 발생시킨다.)
- **데이터 일관성 유지** : 외래키를 사용하면 부모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할 때 자식 테이블에서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관계 정의** : 외래 키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JOIN할 수 있다.

---

## 2. 기본키 (*Primary Key*)
### 1) 기본키란?
- 후보키들중 메인으로 선정되는 키로 후보키의 성질을 가진다.
- 유일성 + 최소성을 가짐. 해당 레코드를 식별시에 기준이 되는 반드시 필요한 키다.

### 2) 기본키의 조건
- 값의 변동이 잦은 후보키는 기본키로 부적절하다.
- NULL값을 가질 수 있는 속성이 포함된 후보키는 부적절하다.
- 후보키중 단순한 키를 기본키로 선택한다.
- 하나의 테이블에는 반드시 하나의 기본키만 존재한다.

---

## 3. ER 다이어그램 (*Entity Relation Diagram*)
### 1) ERD란?
ERD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 그려놓는 다이어그램 (개체와 관계를 중점적으로 표시하는 다이어그램)
![erd_image](./img.png)

### 2) ERD 표기법
- 개체(Entity): 개체란 단독으로 존재하는 객체를 의미, 동일한 객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ERD에서 개체를 사각형으로 표기한다.
- 속성(Attribute): 속성은 개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을 의미한다. ERD에서 원으로 표기한다. 이 중 기본키는 속성에 밑줄을 그어 표기한다.
- 관계(Relationship): 관계는 개체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ERD에서 개체를 서로 이으며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해 마름모로 표기한다.
![erd_image2](image2.png)

---

## 4. 복합키 (*Composite key*)
### 1) 복합키란?
- 두개 이상의 컬럼을 묶어서 하나의 기본키로 지정하는것.
- 기본키는 하나의 테이블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기본키가 만약 복합키라면, 복합키 또한 당연히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해야한다.

---

## 5. 연관관계
![corrlation_image](image3.png)
### 1) 1:1 관계
- 하나의 엔티티가 다른 테이블의 엔티티 한 개와 연결된 경우이다.
- ❓ 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묶지 않을까?
- 너무 많은 칼럼들이 있을 때 나누어 보관하기 위해 이용!
- 보안상을 위해 민감한 정보를 보호할 때 이용!
- ex) 국가 - 수도, 사람 - 주민등록번호

### 2) 1:N 관계 (*일대다 관계*)
- 한 쪽 엔티티가 관계를 맺은 엔티티 쪽의 여러 객체를 가질 수 있는 경우이다.
- ex) 국가 - 도시, 부모 - 자식, 관리자- 직원

### 3) N:M 관계 (*다대다 관계*)
- 양쪽 엔티티 모두 1:N 관계가 존재할 때 나올 수 있는 경우, 즉 서로가 서로를 1:N 관계로 보고 있다.
- 두 테이블의 대표키를 컬럼으로 갖는 연결 테이블을 생성해서 관리한다.
- ex) 수업 - 학생, 현실에서 일어나는 흔한 관계는 보통 다대다이다.

---

## 6. 정규화
### 1) 정규화란?
- 정규화란 이상현상이 있는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이상현상을 없애는 과정이다. 이상현상이 존재하는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구분하여 정규형이 높아질수록 이상현상은 줄어들게 된다.
- 즉, 쉽게말하면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Integrity)를 유지할 수 있으며, DB의 저장 용량 역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을 분해하는 정규화 단계가 정의 되어 있다.

### 2) 정규화의 장점
- 데이터베이스 변경 시 이상 현상(Anomaly)을 제거할 수 있다.
- 정규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형의 추가로 인한 확장 시, 그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거나 일부만 변경해도 된다.
-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된 응용 프로그램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게 되어 응용프로그램의 생명을 연장시킨다.

### 3) 정규화의 단점
- 릴레이션의 분해로 인해 릴레이션 간의 JOIN연산이 많아진다.
- 질의에 대한 응답 시간이 느려질**수도**있다. 데이터의 중복 속성을 제거하고 결정자에 의해 동일한 의미의 일반 속성이 하나의 테이블로 집약되므로 한 테이블의 데이터 용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속도가 빨라질 수도 있고 느려질 수도 있다.
- 만약 조인이 많이 발생하여 성능 저하가 나타나면 **반정규화(De-normalization)** 를 적용할 수도 있다.

### 4) 정규화 절차
1. 제1정규화
- 속성의 **원자성**을 확보한다.
- 원자성?: 트랜잭션 실행은 모두 완료되거나, 실패 시 실행 이전으로 돌아가야한다.
- 트랜직션?: DB 상태를 변화시키는 일련의 작업 단위이다.
- 속성의 중복값을 제거한다.
- 기본키(*Primary Key*)를 설정한다.

2. 제2정규화
- 기본키가 2개 이상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부분 함수 종속성**을 제거(분해)한다.
- 부분 함수 종속성?: 기본키가 2개 이상인 칼럼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발생한다. 기본키가 1개이면 이 과정을 넘어간다.
- 복합 인스턴스에 대해 각 인스턴스의 종속적 중복을 삭제한다.

3. 제3정규화
- 기본키를 제외한 칼럼간에 종속성을 제거한다 -> 이행 함수 종속성을 제거한다!
- 이행 함수 종속?: 각각 X,Y,Z란 3개의 속성이 있을 때, X->Y,Y->Z이란 종속 관계가 있을 경우, X->Z가 성립될 때를 의미한다.
- 일반 속성의 종속성을 제거한다.

4. BCNF(더 제한적인 제3정규화)
- 기본키를 제외하고 후보키가 있는 경우, 후보키가 기본키를 종속시키면 분해한다.
- BCNF는 복수의 후보키가 있고, 후보키들이 **복합 속성**이어야 하며, 서로 **중첩**되어야 한다.

5. 제4정규화
- 여러 칼럼들이 하나의 칼럼을 종속시키는 경우, 분해하여 다중값 종속성을 제거한다.
- 다치 종속성을 제거한다.
- 다치 종속성?: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 속성 간에 성립하는 종속성의 일종이다.
6. 제5정규화
- 조인에 의해서 종속성이 발생되는 경우 분해한다.

---

## 5) 반정규화(*De-normalization*)
### 1) 반정규화란?
-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고 조인을 줄이는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 방법이다.
- 반정규화는**조회(select) 속도를 향상**시키지만, 데이터**모델의 유연성은 낮아**진다.
-
### 2) 그럼 반정규화를 왜 수행하는가?
- 정규화에 충실하여 종속성, 활용성은 향상 되었지만 수행속도가 느려진 경우
- 다량의 범위를 자주 처리해야하는 경우
- 특정 범위의 데이터만 자주 처리하는 경우
- 요약/집계 정보가 자주 요구되는 경우

### 3) 반정규화 절차
1. 대상 조사 및 검토 : 데이터 처리 범위, 통계성 프로세스, 테이블 조인 등을 확인합니다.
대량의 범위를 자주 처리하거나 특정 범위의 데이터만 자주 처리하는 경우를 파악합니다.
자주 요구되는 요약이나 집계 정보를 확인합니다.
2. 다른 방법 검토: 반정규화를 수행하기 전에 다른 방법을 먼저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뷰, 클러스터링, 인덱스 조정 등을 검토합니다.
- 클러스트링? → 클러스터링 인덱스는 인덱스 정보를 저장할 때, 물리적으로 정렬해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조회 시 인접 블록을 연속적으로 읽기 때문에 성능이 향상된다.
3. 반정규화 수행: 테이블, 속성, 관계 등을 반정규화합니다.

### 4) 개선된 반정규화 절차
1. **계산된 컬럼 추가**
- 배치 프로그램으로 총판매액, 평균잔고, 계좌평가를 미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특정 칼럼에 추가한다.

2. **테이블 수직 분할**

- 하나의 테이블의 두 개 이상의 테이블로 분할한다. 즉, 칼럼을 분할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드는 것이다.

3. **테이블 수평분할**

- 하나의 테이블에 있는 값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분할하는 방법이다.
238 changes: 238 additions & 0 deletions mission/chapter01/java_mission.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38 @@
# Chapter 1. JAVA 추가 미션
### ‼️ 추가과제) 해당 키워드에 대해서 공부한 후 간단정리후 제출 & 면접질문 최소 한개 만들어서 제출 후 스터디 시간에 스터디원들과 질문하기!

## 1. Java의 접근제어자
### 1) 자바 접근제어자의 존재 이유 : 객체 지향의 4대 특성 中 캡슐화
자바에서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s)는 클래스, 변수, 메소드 및 생성자에 대한 접근 수준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 원칙을 구현하며, 클래스 내부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외부에서의 무분별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왜냐하면 캡슐화는 객체의 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고, 객체가 제공하는 메소드를 통해서만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접근 제어자는 이러한 캡슐화를 실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2) 클래스 멤버의 접근 제어자 종류
1. **Private**
- *private* 접근 제어자는 가장 제한적인 접근 수준을 제공한다.
- *private*으로 선언된 멤버는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고, **외부 클래스** or **상속받은 클래스**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 *private*로 선언된 멤버는 getter-setter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 이를 통해 해당 private 변수의 접근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무단 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java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

---

2. **Default**
- *default* 접근 제어자는 같은 패키지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들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패키지의 클래스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
-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들 사이에서만 데이터 공유를 허용하고, 패키지 외부로는 데이터를 숨기기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패키지 단위의 캡슐화를 제공)
- 패키지 내부에서의 데이터 공유에 유용하게 작용한다.
- 패키지 내부의 클래스가 서로 밀접할 확률이 높고, 이를 공유해야 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허나 무분별한 default 접근 제어자의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java
//Korea.java
package world;

public class Korea {
String fullname = "Repulic of Korea";
//앞에 접근제어자가 없기 때문에 default 접근제어자로 인식한다.
}
```

```java
//PrintWorld.java
package world; //Korea.java와 같은 패키지

public class PrintWorld {
String str =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Korea korea = new Korea();
System.out.println(str + korea.fullname + "!");
//Korea 클래스의 fullname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Hello, Republic of Korea!
}
}
```
- 이처럼 같은 패키지로 묶여있으면 default 접근 제어자로 설정된 변수에 접근 가능하다.

---

3. **Protect**
- *protect* 접근 제어자는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 또는 다른 패키지의 상속받은 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이는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들 사이의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 *default* 접근 제어자와 공통된 부분은 상속관계가 아닌 객체멤버를 호출할 때, 같은 패키지 일때만 가능하다.
- 그러나 차이점은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멤버를 호출할 때 발생한다. 자식 클래스일때 부모 멤버를 호출하면 protect의 경우 문제없이 작동한다.
```java
///Parents.java
///부모 클래스의 선언
package Package1;

public class Parents {
void defaultMethod {
System.out.println("default!");
}

protected void protectedMethod() {
System.out.println("protected!");
}
}
```
```java
///Child.java
package Package2;
import Package1.Parents;

public class Child() extends Parents {
defaultMethod(); //에러 발생! 패키지가 다르기 때문이다.
protectedMethod(); //문제 없이 정상 작동한다.
}

```

---

4. **Public**
- 접근 제어자가 public으로 설정되었다면 public 접근 제어자가 붙은 변수나 메서드는 어떤 클래스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java
//Korea.java
package world;

public class Korea {
public String fullname = "Repulic of Korea";
//앞에 접근제어자가 없기 때문에 default 접근제어자로 인식한다.
}
```

```java
//PrintWorld.java
package house; //Korea.java와 다른 패키지임에도 불가하고 public은 문제가 없다.
import world.Korea;

public class PrintWorld {
String str =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Korea korea = new Korea();
System.out.println(str + korea.fullname + "!");
//public이기 때문에 import를 한다면 접근이 어디서든 가능하다.
//Korea 클래스의 fullname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Hello, Republic of Korea!
}
}
```

---


## 2.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 1) 클래스 (*Class*)
- 클래스는 여러 가지 멤버 변수와 메서드를 포함하며, 이들을 적절히 구성하여 객체의 동작을 정의한다.
- 멤버 변수 : 클래스 내에서 사용되는 변수, 클래스의 속성을 나타낸다. 인스턴스 변수라고도 불린다.
- 메세드 : 클래스 내에서 사용되는 함수, 클래스의 동작을 나타낸다. 인스턴스 메서드라고도 불린다.
- 생성자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는 특별한 메서드. 객체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java
public class Dog {
//인스턴스 변수
String name;
int age;

//생성자
public Dog(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메서드
public void bow() {
System.out.println("멍멍");
}
}
```
### 2) 인터페이스 (*Interface*)
- 자바에서는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지만,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점을 제공한다.
- 인터페이스는 클래스 간의 중간 매개 역할을 하며, 추상 메소드와 상수만 포함할 수 있다.
- 반면, 추상 클래스는 추상 메소드 외에도 생성자, 필드, 일반 메소드를 가질 수 있다.
- 추상 클래스?: 하나 이상의 추상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 메소드, 필드, 생성자도 가질 수 있는 클래스이다.
- 이로 인해 자바는 다중 상속의 이점을 살리면서도 메소드 출처의 모호성을 피할 수 있다.

```java
interface Animal {public abstract void cry();}
///인터페이스의 구현, 인터페이스 안에 있는 메소드를 반드시 구현해야 한다.

class Dog implements Animal {
public void cry() {
System.out.println("멍멍!");
}
}

class Chick implements Animal {
public void cry() {
System.out.println("삐약삐약!");
}
}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ick chick = new Chick();
Dog dog = new Dog();

chick.cry();
dog.cry();
//삐약삐약!
//멍멍!
}
}
```

---

## 3. 상속

### 1) 상속 (*inheritance*)?
- 상속이란 기존의 클래스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재정의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역시 객체 지향 4대 특성 중에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 상속을 이용하면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의 모든 필드와 메소드를 물려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다.
- 이때 기존에 정의되어 있던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parent class) 또는 상위 클래스(super class), 기초 클래스(base class)라고도 한다.
- 그리고 상속을 통해 새롭게 작성되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child class) 또는 하위 클래스(sub class), 파생 클래스(derived class)라고도 한다.

### 2) 상속의 장점
- 기존에 작성된 클래스를 재활용할 수 있다.
- 자식 클래스 설계 시 중복되는 멤버를 미리 부모 클래스에 작성해 놓으면, 자식 클래스에서는 해당 멤버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 클래스 간의 계층적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다형성의 문법적 토대를 마련한다.

### 3) 자식 클래스 (*child class*)
- 자식 클래스(child class)란 부모 클래스의 모든 특성을 물려받아 새롭게 작성된 클래스를 의미한다.
- class 자식클래스이름 extend 부모클래스이름 { ... }

```java
class Parent {
private int a = 10;
public int b = 20;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public int c = 30;
void display() {
System.out.println(a); //실행 오류: private이기 때문이다.
System.out.println(b); //정상 출력
System.out.println(c); //정상 출력
}
}

```
---

## 4. 면접 질문
### 상속과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1) 상속 : 부모-자식 관계를 나타내며, 부모 클래스의 코드를 재사용하고 확장하는 방법
2) 인터페이스 : 클래스가 따라야 할 규약을 정의하여 다형성을 구현하는 방법

**상속과 인터페이스의 차이**
- 상속의 경우 하위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전부 오버라이드할 필요는 없지만 인터페이스의 경우 반드시 구현해야 한다.
- 상속의 경우 단일 상속만이 가능하지만, 인터페이스는 다중 상속이 가능하다
2 changes: 2 additions & 0 deletions mission/chapter01/mission.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 @@
# 1주차 미션: ERD 그리기
![ERD](week1_erd.png)
Binary file added mission/chapter01/week1_erd.p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