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9
Upgrade docs #21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base: master
Are you sure you want to change the base?
Upgrade docs #21
Conversation
|
The latest updates on your projects. Learn more about Vercel for GitHub.
|
| </DoDont.Do> | ||
| </DoDont> | ||
|
|
||
| ### ✅ 기능-가치-예시 구조로 작성하세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아래 두 가지 내용이 서로 겹쳐보이죠..?
- 기능 중심 설명을 피하고, 독자가 얻을 가치를 먼저 전달하세요
- 기능-가치-예시 구조로 작성하세요
작성할 당시에는 1번이 (세부 문장을 작성하기 전에) "문서에 정보를 배치하는 방법" 이라고 생각했고, 2번이 "문장을 작성할 때 지켜야 하는 논리 순서"라고 생각해서 서로 별개라고 생각했는데요.
다시 읽어보니까 1번도 문장 작성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원칙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ㅠ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네 비슷한 거 같아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그럼 요건 내용에서 제외하고, 1번에 예시를 함께 제시하면 더욱 도움이 된다~ 정도로만 덧붙여볼게요!
|
|
||
| 예제 코드를 함께 제공하면 독자가 직접 실행해 보며 동작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문서가 단순한 설명을 넘어 실제 사용 경험을 전달하는 학습 자료가 되며, 독자의 이해도와 몰입도가 함께 높아집니다. | ||
|
|
||
|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문서의 길이를 늘이지 않고도 맥락을 전달할 수 있고, 독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줍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문서의 길이를 늘이지 않고도 맥락을 전달할 수 있고, 독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줍니다. | |
|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어요. 자세한 설명을 링크로 연결하면 문서의 길이를 늘이지 않고도 맥락을 전달할 수 있고, 독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쓰면 좀 더 자연스러울 것 같은데 어떠세요?!
|
|
||
| ### 1. 독자가 정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
|
||
| 다이어그램, 순서도, 표 같은 시각 자료를 활용하면 글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이나 절차를 독자에게 한눈에 보여줄 수 있어요. 그래서 정보의 흐름을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워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다이어그램, 순서도, 표 같은 시각 자료를 활용하면 글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이나 절차를 독자에게 한눈에 보여줄 수 있어요. 그래서 정보의 흐름을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워요. | |
| 다이어그램, 순서도, 표 같은 시각 자료를 사용하면 복잡한 정보를 한눈에 보여줄 수 있어요. 특히 글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이나 절차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줘요. |
- 두 문장의 흐름(두 문장이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동어 반복 같은 느낌)도 각각의 문장도 좀 어색해서 위와 같이 고쳐봤어요. 일단, 가치를 첫 번째 문장에 확실하게 알려주고, 두 번째 문장에서 확장했어요.
- '독자에게'라는 말은 이미 문서의 대상이 독자이므로 생략해도 의미에 문제 없을 거 같아요. 없애면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때요?
- '파악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워요'는 비슷한 뜻의 동사가 연속되는 거 같아 고쳤어요.
|
|
||
| ### 2. 문서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 ||
|
|
||
| 공식 문서나 자세한 설명으로 연결되는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정보가 검증된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독자는 “이 문서는 근거가 있는 정보다”라는 신뢰가 생기는 거예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 문장은 무척 인공적으로 느껴지네요 ㅋㅋ "인상을 준다"는 표현은 문서 작성자의 의도에 초점을 두지만, 사실 독자가 느끼는 건 '인상'이 아니라 '신뢰'여야 하는 거라서 잘 맞지 않는 논거 같아요.
|
|
||
| ### 2. 문서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 ||
|
|
||
| 공식 문서나 자세한 설명으로 연결되는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정보가 검증된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독자는 “이 문서는 근거가 있는 정보다”라는 신뢰가 생기는 거예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공식 문서나 자세한 설명으로 연결되는 참조 링크를 활용하면 정보가 검증된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독자는 “이 문서는 근거가 있는 정보다”라는 신뢰가 생기는 거예요. | |
| 공식 문서나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연결되는 참조 링크를 제공하면, 독자가 정보의 출처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문서의 신뢰도가 높아져요. |
근데 이렇게 고치더라도 논거가 좀 부족해 보이네용.. 이게 정말 중요한 파트인지 한 번 다시 고민해봐도 좋을 듯 해요
|
|
||
| # 보조 자료 활용하기 | ||
|
|
||
| 좋은 문서는 독자에게 맥락을 풍부하게 제공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한 문서에 담으려 하면 주제가 분산되고,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어요. 이때 예시 코드, 사진, 그래프 같은 보조 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독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좋은 문서는 독자에게 맥락을 풍부하게 제공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한 문서에 담으려 하면 주제가 분산되고,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어요. 이때 예시 코드, 사진, 그래프 같은 보조 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독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
| 좋은 문서는 독자에게 맥락을 풍부하게 제공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한 문서에 담으려 하면 주제가 분산되고,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어요. 이때 예시 코드, 흐름도, 가독성을 높이는 컴포넌트 같은 보조 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독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사진, 그래프는 기술 문서에서 잘 사용하지 않아 어색해요. 또 마지막에 컴포넌트 관련 내용도 있는데 처음에 소개가 잘 되지 않은 거 같아 추가하면 좋을 듯 해요.
|
|
||
| ### 3. 중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
|
|
||
| 본문의 모든 내용이 동일한 형태로 나열되어 있으면, 독자는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빠르게 구분하기 어려워요. 이럴 때 콜아웃, 참조 링크, 하이라이트 블록 같은 요소를 활용하면 독자가 주의해야 할 부분과 참고할 부분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본문의 모든 내용이 동일한 형태로 나열되어 있으면, 독자는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빠르게 구분하기 어려워요. 이럴 때 콜아웃, 참조 링크, 하이라이트 블록 같은 요소를 활용하면 독자가 주의해야 할 부분과 참고할 부분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 |
| 본문의 모든 내용이 텍스트로만 나열되어 있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한눈에 구분하기 어려워요. 이럴 때 콜아웃, 참조 링크, 하이라이트 블록 같은 요소를 쓰면 주의해야 할 내용이나 참고할 정보를 자연스럽게 구분할 수 있어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동일한 형태 라는 말이 모호해서 더 구체적으로 적어봤어요. 나머지는 단순 문장 다듬기입니다!
|
|
||
| ### ✅ 예시 코드를 작성하세요 | ||
|
|
||
| 예제 코드는 핵심 기능을 잘 드러낼 수 있고 간단해야 해요. 그리고 독자가 직접 실행해보며 학습할 수 있도록 예제 코드를 실행하는 데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어떨 때 예제 코드가 필요한지도 써주면 더 좋을 거 같아요.
|
|
||
| ### ✅ 시각 자료를 활용하세요 | ||
|
|
||
| 시각 자료는 단순히 보기에 좋은 자료보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자료를 선택해야 해요. 독자가 정보를 잘 이해하도록 돕는 목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이에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이것도 어떤 경우에 시각 자료를 활용하면 좋은지, 그리고 시각 자료라고 했을 때 예시 이미지 / 흐름도 등 다양한 요소가 있는데 각각의 용도가 다를 수 있어 구체적으로 적어야 할 것 같습니다.
|
|
||
| ### ✅ 참조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세요 | ||
|
|
||
| 문서에서 직접 설명하기 어려운 배경지식이나 세부 정보가 있을 때는 관련 문서나 공식 자료로 연결되는 참조 링크를 추가하세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어렵다를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보면 어때요? 예를 들어 특정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게 문서의 목적과 맞지 않은 경우 < 등으로 설명을 하는 게 더 적절할 거 같아요.
| ### ✅ 괄호 사용을 줄이세요 | ||
|
|
||
| 괄호를 사용하면 독자가 헷갈릴 수 있는 정보를 부연 설명할 수 있어요. 문서를 작성할 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괄호를 사용해요.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괄호 사용을 줄이라는 게 헤딩인데, 첫 문장은 괄호를 사용하라는 내용이라 흐름이 어색해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맨 아래 내용이 먼저 나오고, 그치만 이럴 때는 괄호를 쓰는 게 좋다 라는 흐름이 자연스러울 듯 합니다.
| ::: details 정답 확인 | ||
|
|
||
| 시스템은 서버가 재시작되어도 자동으로 로그를 유지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근데 마침표가 빠졌어요!
| </DoDont.Dont> | ||
| <DoDont.Do> | ||
|
|
||
| 자동 백업 기능은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저장하여 장애 발생 시에도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자동 백업 기능은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저장하여 장애 발생 시에도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 자동 백업 기능은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저장해서 장애 발생 시에도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에요. |
예시지만 문장이 딱딱하고 어색하게 느껴져서 좀 더 개선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수정한 내용
이 변경이 필요한 이유
확인이 필요한 내용
체크리스트